본문 바로가기
사회심리학

제3장. 자신과 타인 이해하기 (2)

by smartmonkey 2022. 6. 30.
반응형

[3] 어떻게 자신을 지키고 드높일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고 싶어 합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 긍정적 자기 평가에는 자신이 유능하다는 믿음,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믿음이 포함됩니다.
둘째, 자기 평가는 사회생활을 어떻게 영위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셋째, 자기 평가는 사회의 가치 기준을 얼마나 충족하며 사는지 나타냅니다.

따라서 자기 평가를 끌어올릴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기준으로 볼 때 자신이 좋은 사람인지에 대한 우려 역시 줄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아상을 향상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하는 인지적 전략 몇 가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전략을 유도하는 사람과 상황 요인을 탐색해봅시다.

(1) 자기 향상 전략


-사회적 비교 : 누구에게나 자신의 능력과 의견을 평가하려는 근본적 동기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합니다. 페스팅어의 사회 비교 이론은 자신의 능력과 의견의 타당성을 정확히 평가하려는 동기에 초점을 맞춥니다. 우리는 자기 향상을 위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기도 합니다. 어떤 식으로 비교해서 자아상을 높일까요?

첫째, 하향적 사회 비교 (자기보다 능력이 떨어지거나 행복하지 못한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
둘째, 상향적 사회 비교 (자기보다 나은 사람과 자신을 비교). 이 경우 의도치 않게 역효과가 생기기도 합니다. 요령은 자신 또한 자기보다 나은 사람들처럼 성공으로 가는 중간 과정에 있다고 믿는 것입니다.

-자기 본위적 귀인 :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본위적 편향을 드러냅니다. 성공하면 자신이 잘해서 그랬다고 생각하고 실패하면 외부의 영향력을 탓하는 것입니다.
한 연구 결과에서는 편향에 빠지지 않고 원인을 찾을 때 정신적 통제력이 많이 필요해진다는 점을 보여주며 그만큼 자기 본위적 귀인은 쉽게 일어납니다. -장점 부풀리기, 단점 축소하기 : 일반적으로 우리는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적용되는 기준을 세울 때 자신에게 있는 특성과 능력을 상당히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시에 자신에게 없는 능력을 깎아내리는 경향도 있습니다. ‘나에게는 중요한 것이 있다’라고 생각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장점을 기준으로 다른 사람들을 평가하므로 자신이 그들보다 낫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통제력이 자신에게 있다고 믿기 : 자아상의 고취와 보호는 주변의 사건과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는 믿음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 통제 감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것을 박탈당한 사람들은 뚜렷한 반응을 보입니다. 예컨대 자신이 좋아하는 행동을 했는데 물질적 보상을 받으면 그 활동에 흥미를 잃습니다. 그 보상이 자신을 통제하려는 시도로 여겨 지기 때문입니다.

(2) 자존감이 높은 사람, 자존감이 낮은 사람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특히 자기 향상적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들은 사회 비교로 자신을 높이는 경향이 있고, 상향적 하향적 비교 전략에 능숙하며 다른 사람들을 끌어내려 자기 가치감을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어떨까요? 사실 자존감의 수준과 상관없이 누구나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긍정적 자기 평가를 추구하는 방식에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신 이들은 원래의 자존감을 보호하는 데 치중합니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자신을 부정적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은 부정적 피드백에 더 잘 대처한다고도 합니다.

(3) 궁지에 몰린 자의 마지막 일격 : 자기 보호적 편향


자존감에 대한 위협은 자아상을 지키고 향상하게 만듭니다. 자기 보호적 편향은 꽤 흔히 발견됩니다. 자아상을 위협하는 상황적 요인이 자아상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이끌어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아상을 위협하는 요소 가운데 흥미로운 것은 죽음 현저성, 즉 언젠가는 죽는다는 인식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죽음을 의식하게 되면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관점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지지하고 반발하는 사람들은 폄하함으로써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를 재확인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명백한 실패든 타인에게 받는 부정적 피드백이든 심각한 질병이든 자신의 부정적 행동이든 죽음에 대한 생각이든, 자아상을 위협하는 모든 형태의 상황적 요소는 우리가 자아상을 지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게 만듭니다.

(4) 자존감의 안정성


자존감의 불안정성과 자존감의 상호 영향력은 자존감이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특히 두드러집니다.

(5) 문화에 따른 긍정적 자기 평가


개인주의적 문화에서는 ‘나’에 초점을 맞추도록 가르칩니다. 그들의 자존감은 자신을 자율적 존재로 보는 개인적 자아 개념 혹은 독립적 자아 개념에 바탕을 둡니다.
집단주의적 문화에서는 ‘우리’를 강조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맞추고 조화를 추구하도록 가르칩니다. 그들의 자존감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사회적 자아 개념 혹은 상호 의존적 자아 개념에 주로 바탕을 둡니다.

미국인들은 개인주의적 문화에서 높게 평가하는 특질(독립성, 독창성)로 자신을 묘사할 때 자신을 더 좋게 생각하는 반면, 일본인은 집단주의적 문화에서 높게 평가하는 특질(충실성, 협동)로 자신을 묘사할 때 자신을 더 좋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다수에게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일은 확실히 중요하며, 이러한 욕구는 자신과 타인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도 종종 큰 영향을 미칩니다.

참고자료. [사회심리학]. 로버트 치알디니, 더글러스 켄릭, 스티븐 뉴버그 지음

728x90
반응형

댓글